고지혈증약을 5년째 매일 먹는 직장인 A 씨는 34세인데요.
29살에 진단을 받고 의사로부터 운동을 하고 육류보단 채소를 많이 먹어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A 씨는 어린 나이에 약을 달고 사는 게 우울하지만 바빠서 운동과 식단 관리를 하는 일이 여전히 쉽지 않은데요.
이처럼 중장년의 병이 MZ 세대(20~30대)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대와 30대 만성질환 환자가 중장년층 보다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지난해 20, 30대의 당뇨병 진료환자는 13만1846명으로 10년 전(2012년, 7만5868명)보다 74% 늘었습니다.
고혈압 환자는 같은 기간 45% 증가(15만4160명→22만3779명)했는데요.
고지혈증도 2배 이상(9만9474명→21만4243명)으로 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MZ 세대가 실제 나이에 비해 생물학적 나이가 더 늙는 가속 노화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는데요.
20~30대가 부모 세대보다 빠르게 늙고 있다는 것입니다.
지난해 당뇨병(335만 4251명)과 고혈압 환자(727만8875명)의 약 53%는 50·60세대였는데요.
하지만 증가율은 10년간 50~60대에서 당뇨는 69%(20~30대 73%), 고혈압은 33%(20~30대 45%) 환자가 늘었습니다.
20~30대의 증가율은 50~60대를 압도하는 것은 물론, 전 연령에서 가장 높은데요.
건강검진 보편화로 진단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이지만, MZ 세대의 만성질환 증가를 온전히 설명해주진 못합니다.
혈압이나 당뇨는 검진에서 발견할 수도 있지만 스스로 몸에 이상을 느껴 내원하는 젊은 환자들이 많은데요.
검진 확대만으로 이 현상을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진료 현장에서는 확실히 20~30대 환자가 눈에 띄게 증가했음을 느끼는데요.
관절이 안 좋아 정형외과를 찾는 20~30대도 늘고 있습니다.
수십 년을 써야 망가지는 뼈가 잘못된 습관과 운동 부족으로 일찍 망가진 탓입니다.
이 때문에 의료현장에서 오십견이 아니라 이십견 환자가 늘고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민간비영리기구(NPO)에서 사무직으로 근무하는 B 씨는 서너 달마다 물리 치료를 받으러 정형외과에 다닙니다.
손목과 무릎 관절이 골고루 안 좋아서인데요.
병원에서 관절을 아껴 쓰라고 하지만 회계 결산 시즌이나 감사를 앞두면 12시간씩 의자에 앉아 자판을 칩니다.
B 씨는 관절을 아껴 쓰고 싶어도, 방법이 마땅찮다고 밝혔는데요.
건보공단 통계에 따르면 20~30대 퇴행성 관절증 환자는 10년 전 16만4636명에서 지난해 20만2198명으로 22% 늘었는데, 같은 기간 25% 늘어난 50~60대 관절증 환자와 비슷한 증가 속도입니다.
십수 년 전에는 아무리 젊어도 40~50대, 식당·건축 현장 같은 특수한 직업을 가진 환자들에게 관절염이 왔는데, 최근에는 그 연령층이 10년 정도 당겨졌습니다.
이는 컴퓨터 없이 직장 일이 안 되고, 스마트폰을 종일 쓰는 영향이 큰데요.
MZ 세대가 빠르게 늙는 이유로 학창 시절부터 누적된 운동 부족과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 등 라이프스타일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입시와 사교육의 굴레로 운동장에서 마음껏 뛰어놀 기회가 적었고, 취업과 경쟁에 내몰리면서 성인이 되어서도 습관화된 운동 부족이 이어진 것인데요.
배달문화 보편화와 서구화된 식습관은 혈당 조절에 문제를 만들고, 비만으로 이어져 만성질환의 씨앗이 된다는 전문가들의 분석도 있습니다.
또 나아가 암이나 심혈관 질환 같은 중증질환의 위험도도 키운다고 경고하고 있는데요.
대사증후군의 특징은 혈당이 빠르게 오르내린다는 것입니다.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이 점점 많이 나오는데, 이것들이 지방세포의 성장도 촉진하고 암세포의 성장도 촉진합니다.
가속 노화 문제를 방치하면 현재의 2030 세대는 베이비부머인 부모 세대보다 건강하지 못한 세대가 될 수 있는데요.
평균 수명이 늘고 있지만, 건강하지 못한 삶을 오래 살아야 할지도 모른다는 우울한 경고임을 명심하시길 바라며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고지혈증약을 5년째 매일 먹는 직장인 A 씨는 34세인데요.
29살에 진단을 받고 의사로부터 운동을 하고 육류보단 채소를 많이 먹어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A 씨는 어린 나이에 약을 달고 사는 게 우울하지만 바빠서 운동과 식단 관리를 하는 일이 여전히 쉽지 않은데요.
이처럼 중장년의 병이 MZ 세대(20~30대)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대와 30대 만성질환 환자가 중장년층 보다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지난해 20, 30대의 당뇨병 진료환자는 13만1846명으로 10년 전(2012년, 7만5868명)보다 74% 늘었습니다.
고혈압 환자는 같은 기간 45% 증가(15만4160명→22만3779명)했는데요.
고지혈증도 2배 이상(9만9474명→21만4243명)으로 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MZ 세대가 실제 나이에 비해 생물학적 나이가 더 늙는 가속 노화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는데요.
20~30대가 부모 세대보다 빠르게 늙고 있다는 것입니다.
지난해 당뇨병(335만 4251명)과 고혈압 환자(727만8875명)의 약 53%는 50·60세대였는데요.
하지만 증가율은 10년간 50~60대에서 당뇨는 69%(20~30대 73%), 고혈압은 33%(20~30대 45%) 환자가 늘었습니다.
20~30대의 증가율은 50~60대를 압도하는 것은 물론, 전 연령에서 가장 높은데요.
건강검진 보편화로 진단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이지만, MZ 세대의 만성질환 증가를 온전히 설명해주진 못합니다.
혈압이나 당뇨는 검진에서 발견할 수도 있지만 스스로 몸에 이상을 느껴 내원하는 젊은 환자들이 많은데요.
검진 확대만으로 이 현상을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진료 현장에서는 확실히 20~30대 환자가 눈에 띄게 증가했음을 느끼는데요.
관절이 안 좋아 정형외과를 찾는 20~30대도 늘고 있습니다.
수십 년을 써야 망가지는 뼈가 잘못된 습관과 운동 부족으로 일찍 망가진 탓입니다.
이 때문에 의료현장에서 오십견이 아니라 이십견 환자가 늘고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민간비영리기구(NPO)에서 사무직으로 근무하는 B 씨는 서너 달마다 물리 치료를 받으러 정형외과에 다닙니다.
손목과 무릎 관절이 골고루 안 좋아서인데요.
병원에서 관절을 아껴 쓰라고 하지만 회계 결산 시즌이나 감사를 앞두면 12시간씩 의자에 앉아 자판을 칩니다.
B 씨는 관절을 아껴 쓰고 싶어도, 방법이 마땅찮다고 밝혔는데요.
건보공단 통계에 따르면 20~30대 퇴행성 관절증 환자는 10년 전 16만4636명에서 지난해 20만2198명으로 22% 늘었는데, 같은 기간 25% 늘어난 50~60대 관절증 환자와 비슷한 증가 속도입니다.
십수 년 전에는 아무리 젊어도 40~50대, 식당·건축 현장 같은 특수한 직업을 가진 환자들에게 관절염이 왔는데, 최근에는 그 연령층이 10년 정도 당겨졌습니다.
이는 컴퓨터 없이 직장 일이 안 되고, 스마트폰을 종일 쓰는 영향이 큰데요.
MZ 세대가 빠르게 늙는 이유로 학창 시절부터 누적된 운동 부족과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 등 라이프스타일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입시와 사교육의 굴레로 운동장에서 마음껏 뛰어놀 기회가 적었고, 취업과 경쟁에 내몰리면서 성인이 되어서도 습관화된 운동 부족이 이어진 것인데요.
배달문화 보편화와 서구화된 식습관은 혈당 조절에 문제를 만들고, 비만으로 이어져 만성질환의 씨앗이 된다는 전문가들의 분석도 있습니다.
또 나아가 암이나 심혈관 질환 같은 중증질환의 위험도도 키운다고 경고하고 있는데요.
대사증후군의 특징은 혈당이 빠르게 오르내린다는 것입니다.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이 점점 많이 나오는데, 이것들이 지방세포의 성장도 촉진하고 암세포의 성장도 촉진합니다.
가속 노화 문제를 방치하면 현재의 2030 세대는 베이비부머인 부모 세대보다 건강하지 못한 세대가 될 수 있는데요.
평균 수명이 늘고 있지만, 건강하지 못한 삶을 오래 살아야 할지도 모른다는 우울한 경고임을 명심하시길 바라며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