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자해 후 생존자와 다르게 사망으로 이어지는 위험요인이 규명됐는데요.
한국의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 자해 환자를 대상으로 차별화된 자살 예방전략을 구축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해당 연구팀에 따르면 자해 환자군이 갖는 특성을 분석해 사망으로 이어진 위험요인을 규명했다고 밝혔는데요.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는 24.6명입니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인데요.
최근 20년 동안 다른 OECD 국가들의 자살률은 감소했지만 한국의 자살률은 46% 상승했습니다.

자해 환자는 자살 사망의 고위험군인데요.
해외 코호트 연구에서는 자해 환자가 일반 인구보다 자살 위험이 3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보고됐습니다.
한국은 자살로 사망한 고위험군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인데요.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2002~2020년 자해(국제질병 분류 코드 X60-X84)로 병원을 방문한 이력이 있는 6332명을 대상으로 일반 인구와 다르게 자해 환자군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확인했습니다.

자해 환자군에서 사망에 이르게 된 환자들의 사망 위험요인을 분석했는데요.
분석 결과 일반 인구와 자해 환자군은 사회경제적 요인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해 환자군에서는 흡연자인 경우와 의료급여 수급자, 정신질환 병력을 가진 경우와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진 경우가 많았는데요.
반면, 자해 이후 사망으로 이어진 환자군은 생존군과 비교해 임상적 요인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증 장애인인, 정신과 진단 병력이 없는 경우와 치명적인 자살 도구를 이용한 경험이 있고 높은 CCI 점수를 가진 경우인데요.
CCI 점수는 환자가 보유하고 있는 기저질환의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CCI가 높을수록 환자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어 장애 보유 등 임상적 요인을 보이는 환자에서 사망 위험이 높게 나타났는데요.
자해 이후 생존한 환자와 달리 자살로 사망한 환자에서 특징적으로 보이는 위험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가 자살 고위험군인 자해 환자를 대상으로 차별화된 자살 예방전략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자해 후 생존자와 다르게 사망으로 이어지는 위험요인이 규명됐는데요.
한국의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 자해 환자를 대상으로 차별화된 자살 예방전략을 구축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해당 연구팀에 따르면 자해 환자군이 갖는 특성을 분석해 사망으로 이어진 위험요인을 규명했다고 밝혔는데요.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는 24.6명입니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인데요.
최근 20년 동안 다른 OECD 국가들의 자살률은 감소했지만 한국의 자살률은 46% 상승했습니다.
자해 환자는 자살 사망의 고위험군인데요.
해외 코호트 연구에서는 자해 환자가 일반 인구보다 자살 위험이 3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보고됐습니다.
한국은 자살로 사망한 고위험군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인데요.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2002~2020년 자해(국제질병 분류 코드 X60-X84)로 병원을 방문한 이력이 있는 6332명을 대상으로 일반 인구와 다르게 자해 환자군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확인했습니다.
자해 환자군에서 사망에 이르게 된 환자들의 사망 위험요인을 분석했는데요.
분석 결과 일반 인구와 자해 환자군은 사회경제적 요인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해 환자군에서는 흡연자인 경우와 의료급여 수급자, 정신질환 병력을 가진 경우와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진 경우가 많았는데요.
반면, 자해 이후 사망으로 이어진 환자군은 생존군과 비교해 임상적 요인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증 장애인인, 정신과 진단 병력이 없는 경우와 치명적인 자살 도구를 이용한 경험이 있고 높은 CCI 점수를 가진 경우인데요.
CCI 점수는 환자가 보유하고 있는 기저질환의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CCI가 높을수록 환자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어 장애 보유 등 임상적 요인을 보이는 환자에서 사망 위험이 높게 나타났는데요.
자해 이후 생존한 환자와 달리 자살로 사망한 환자에서 특징적으로 보이는 위험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가 자살 고위험군인 자해 환자를 대상으로 차별화된 자살 예방전략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