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정보]손발이 차고 시리면 혈액순환에 장애 발생


손발이 차면 마음이 따뜻하다는 말이 있는데요.

예민한 사람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교감신경이 활발해져 손끝과 발끝의 말초 신경이 수축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심하면 괴사나 사망 위험까지 있기 때문에 과도하게 손발이 차고 시리면 마음이 따뜻하다고 만족하는 데 그치지 말고 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한데요.



말초혈관에 문제가 생기는 증상 중 대표적인 것은 레이노증후군이 있습니다.

교감신경이 과도한 반응을 보이며 손가락과 발가락의 말초혈관이 극도로 수축하면서 혈액순환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인데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약 2배 가까이 높게 나타납니다.

여성은 초경, 임신, 출산 등에 따른 호르몬 변화를 겪고 잦은 설거지 등으로 찬물에 많이 노출되거나 자궁, 난소 등 내부 장기에 혈액이 몰릴 수 있어서인데요.



혈관이 수축해 손끝과 발끝이 하얗게 변했다가 이 상태가 지속되면 산소부족으로 청색증이 나타나 파란색으로 변합니다.

이후 혈관이 이완돼 손끝과 발 끝에 혈액이 전달되면 붉어지는데요.

이때 손발 저림, 가려움증, 통증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하면 피부가 괴사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 통증이 가벼워 약물치료로 증상을 조절하는데요.



평소 체온을 잘 관리해 차가운 공기나 찬물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이 심하면 약물치료를 통해 증상을 경감시키거나 교감신경 차단술을 통해 치료하기도 하는데요.

말초혈관 수축 막으려면 흡연자의 경우 금연을 해야 합니다.



심장에서 피를 보내주는 길인 동맥을 막는 동맥경화증 때문에 말초혈관으로 흘러들어가는 혈액의 양이 줄어 손발, 특히 발이 차가울 수 있는데요.

동맥경화증은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 등이 원인입니다.



걷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종아리에 통증이 나타나거나 발이 시린 것이 주요 증상인데요.

어느 정도 진행되면 발가락이 검게 변하며 통증을 수반하거나 괴사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진단과 치료시기가 늦으면 패혈증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하면 다리를 절단하거나 사망할 수도 있는데요.



피부에 작은 구멍을 내고 가는 철삿줄에 기구를 넣어 막힌 혈관을 뚫는 시술 또는 피부를 절개한 뒤 새로운 길을 만들어 피를 손끝과 발끝으로 보내는 우회로 수술 등의 치료법이 있습니다.



혈관에 문제가 생긴 경우 적절한 시기에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으면 약물치료만으로도 충분한 경우가 많은데요.

초기 증상이 의심된다면 반드시 병원에 내원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안전함을 당부드리며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