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중에 대장암, 위암을 빼놓을 수 없는데요.
보건복지부-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가 지난달 26일 발표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 신규 암 환자는 28만 2047명입니다.

남자 14만 7468명, 여자 13만 4579명인데요.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3만 3914명)입니다.
이어서 대장암, 폐암, 유방암, 위암, 전립선암 순인데요.
오늘은 최신 자료를 토대로 대장암, 위암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랫동안 전체 암 발생 1위를 지켰던 위암이 대장암보다 환자 수가 적어졌는데요.
국가암검진 대상인 위암, 간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최근 10여 년 동안 감소 추세입니다.

위암 위험요인인 짠 음식을 조심하는 분위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데요.
대장암은 고기구이 등 동물성지방 섭취가 증가하면서 환자 수가 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음식의 영향이 가장 큰 두 암이 상반된 발생 추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인데요.

암 유병자 수에서 보면 갑상선암(55만 4693명), 위암(35만 6507명), 유방암(33만 854명), 대장암(32만 6251명), 전립선암(14만 7618명), 폐암(13만 1496명) 순이었습니다.

유병자는 현재 치료 중인 환자뿐만 아니라 완치자도 포함하는데요.
위암이 암 발생 1위였던 여파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앞으로 유병자 수도 대장암이 더 많아질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고지방, 고열양 섭취가 많은 서구식 식단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장암 발병 위험 요인은 식생활, 비만, 염증성 장 질환, 유전, 선종성 용종, 신체활동 부족, 음주, 흡연 등인데요.
밥, 나물 반찬 위주의 식습관이 서구식으로 바뀌고 돼지고기-소고기 등 붉은 고기, 가공육(소시지-햄-베이컨)을 많이 찾고 있습니다.
특히 불에 탄 고기나 육가공품을 자주 먹으면 발암 물질들이 더 증가하는데요.

대장암 증상은 혈변 또는 끈적한 점액변, 설사·변비 또는 배변 후 변이 남은 듯 불편한 느낌, 변이 가늘어진 경우입니다.
또한 복부 불편감(복통, 복부 팽만), 체중 감소·피로감도 나타나는데요.
때문에 평소 대장암 위험 요인, 검진에 신경 써야 합니다.

위암의 증상은 속 쓰림, 소화불량, 윗배의 불쾌감·팽만감·통증, 체중 감소 등이 있는데요.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고 나타나도 소화장애로 오인할 수 있습니다.

아시겠지만 위내시경 검사를 통해 위암 예방 및 조기 발견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요.
참고로 짠 음식, 탄 음식을 장기간 많이 먹으면 위 점막에 암세포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찌개 하나를 여럿이 떠먹는 문화는 발암요인 헬리코박터균을 옮길 수 있어 자제해야 하는데요.
앞접시는 이제 어디에서나 필수 품목임을 기억하시길 바라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중에 대장암, 위암을 빼놓을 수 없는데요.
보건복지부-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가 지난달 26일 발표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 신규 암 환자는 28만 2047명입니다.
남자 14만 7468명, 여자 13만 4579명인데요.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3만 3914명)입니다.
이어서 대장암, 폐암, 유방암, 위암, 전립선암 순인데요.
오늘은 최신 자료를 토대로 대장암, 위암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랫동안 전체 암 발생 1위를 지켰던 위암이 대장암보다 환자 수가 적어졌는데요.
국가암검진 대상인 위암, 간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최근 10여 년 동안 감소 추세입니다.
위암 위험요인인 짠 음식을 조심하는 분위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데요.
대장암은 고기구이 등 동물성지방 섭취가 증가하면서 환자 수가 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음식의 영향이 가장 큰 두 암이 상반된 발생 추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인데요.
암 유병자 수에서 보면 갑상선암(55만 4693명), 위암(35만 6507명), 유방암(33만 854명), 대장암(32만 6251명), 전립선암(14만 7618명), 폐암(13만 1496명) 순이었습니다.
유병자는 현재 치료 중인 환자뿐만 아니라 완치자도 포함하는데요.
위암이 암 발생 1위였던 여파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앞으로 유병자 수도 대장암이 더 많아질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고지방, 고열양 섭취가 많은 서구식 식단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장암 발병 위험 요인은 식생활, 비만, 염증성 장 질환, 유전, 선종성 용종, 신체활동 부족, 음주, 흡연 등인데요.
밥, 나물 반찬 위주의 식습관이 서구식으로 바뀌고 돼지고기-소고기 등 붉은 고기, 가공육(소시지-햄-베이컨)을 많이 찾고 있습니다.
특히 불에 탄 고기나 육가공품을 자주 먹으면 발암 물질들이 더 증가하는데요.
대장암 증상은 혈변 또는 끈적한 점액변, 설사·변비 또는 배변 후 변이 남은 듯 불편한 느낌, 변이 가늘어진 경우입니다.
또한 복부 불편감(복통, 복부 팽만), 체중 감소·피로감도 나타나는데요.
때문에 평소 대장암 위험 요인, 검진에 신경 써야 합니다.
위암의 증상은 속 쓰림, 소화불량, 윗배의 불쾌감·팽만감·통증, 체중 감소 등이 있는데요.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고 나타나도 소화장애로 오인할 수 있습니다.
아시겠지만 위내시경 검사를 통해 위암 예방 및 조기 발견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요.
참고로 짠 음식, 탄 음식을 장기간 많이 먹으면 위 점막에 암세포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찌개 하나를 여럿이 떠먹는 문화는 발암요인 헬리코박터균을 옮길 수 있어 자제해야 하는데요.
앞접시는 이제 어디에서나 필수 품목임을 기억하시길 바라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