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정보]비알코올 지방간 질환, 정상인보다 사망률 67%높아


전 세계 인구 4명 중 1명꼴로 나타나는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을 앓고 있으면 정상인보다 사망률이 67%나 높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나왔는데요.

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가 저체중일 경우 예후가 나빴습니다.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국제 학술지(Metab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대사, 임상과 실험)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결과를 온라인에 게재했는데요.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은 음주를 하지 않는데도 간에 정상보다 많은 양의 지방이 축적돼 있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주로 비만, 당뇨, 고지혈증 등 대사증후군에 동반되며 환자의 30%에서는 간염, 간경화·섬유증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의료진의 설명인데요.



서울대와 숭실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2009년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885만 8,421명을 대상으로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과 원인별 사망률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습니다.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과 사망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지방간 지수(FLI)를 활용했는데요.

이 지수는 지방간 질환을 식별하는 가장 검증된 측정치 중 하나로 체질량 지수와 허리둘레, 혈중 중성지방 수치, 감마지티피 수치를 사용해 계산합니다.

이는 낮은 그룹(FLI <30), 중간 그룹(30≤ FLI <60), 높은 그룹(FLI ≥60)으로 구분했는데요.



그 결과 FLI가 높은 그룹일수록 사망 위험이 높았습니다. 사망 위험은 지방간 지수에 비례해 증가했는데요.

연구팀에 따르면 전체 사망 위험은 낮은 그룹에 비해 중간 그룹에서 19%, 높은 그룹에서 67%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체질량지수(BMI)에 따라 연구 대상을 저체중, 표준, 과체중, 비만 그룹으로 나눠 다시 분석했는데요.

모든 BMI 그룹에서 지방간 지수가 높을수록 사망 위험도 높아지는 양상이 관찰됐습니다.

반면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의 예후가 가장 나쁜 그룹은 저체중이었는데요.



연구팀은 비알코올 지방간 환자가 비만 등 일반적으로 알려진 대사 이상 증후군뿐 아니라 체중 감소를 유발하는 질환 (근감소증·근감소성 비만)에도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외에 심혈관질환, 암, 호흡기질환, 간질환에 따른 각각의 사망률과 전체 사망률 모두 지방간 지수에 비례해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연구를 통해 아시아의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과 사망의 연관성을 최초로 규명했다며 앞으로 각종 질환·사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방간의 임상적 중요성에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