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비만이라도 나이가 젊을수록 심근경색, 심부전 등의 심혈관계 위험이 더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는데요.
반대로 노년층에서는 저체중이 오히려 이런 위험을 높여 약간의 과체중을 유지하는 게 도움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대학병원 공동연구팀이 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심혈관 질환이 없는 927만 8,433명을 대상으로 코호트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는데요.
비만은 동맥경화와 심근경색, 심부전, 더 나아가 사망의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체중 또한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환자의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는데요.
이런 이유로 비만도를 가늠하는 체질량지수(BMI)와 사망은 U자 모양의 연관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BMI가 너무 낮아도, 높아도 위험하단 것인데요.
연구팀이 2009년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중 심혈관 질환이 없는 927만 8,433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이 같은 연관성이 확인됐습니다.
각 질환별로 가장 위험이 낮은 BMI 구간은 심근경색은 정상 체중(18.5-22.9kg/㎡), 심부전은 비만 전 단계 (23-24.9 kg/㎡), 그리고 사망은 경도 비만(25-29.9kg/㎡) 구간이었는데요.
그러나 비만도에 따른 심혈관계 위험이 모든 연령대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다시 ▲청년층(20~39세) ▲중년층(40~64세) ▲노년층(65세 이상)으로 나눠 BMI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심근경색의 위험은 청년층에서 특히 비만도가 높을수록 비례해 증가했는데요.
중년층은 U자형, 노년층에서는 반비례해 저체중일 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심부전의 경우 전 연령층에서 U자형 관계가 관찰됐는데요.
다만, 비만의 영향은 청년층에서, 저체중의 영향은 중·노년층에서 각각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심부전 위험이 가장 낮은 BMI 구간은 청년층에서는 정상 체중일 때, 중년층에서는 정상 체중 또는 비만 전 단계 일 때, 노년층에서는 비만 전 단계일 때로 확인됐는데요.
사망의 위험은 전 연령층에서 경도 비만일 때 가장 낮고, 심한 저체중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저체중과 사망의 연관성은 청년층보다 중·노년층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났는데요.
나이를 10살 단위로 나눠 분석했을 때, 비만도와 심혈관계 위험의 연관성은 더 극명히 차이 났습니다.
연구팀은 20대에서는 저체중이 심혈관계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았고, 비만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증가할수록 심혈관계 위험이 커졌다며, 70대 이상의 노인에서는 비만에 따른 심혈관계 위험 증가보다도 저체중에 따른 심근경색 사망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청년층은 비만해지지 않도록 체중을 조절하고, 비만한 젊은이는 체중을 감량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노인층의 경우 체중이 감소하지 않도록 적절한 운동과 식이를 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같은 비만이라도 나이가 젊을수록 심근경색, 심부전 등의 심혈관계 위험이 더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는데요.
반대로 노년층에서는 저체중이 오히려 이런 위험을 높여 약간의 과체중을 유지하는 게 도움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대학병원 공동연구팀이 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심혈관 질환이 없는 927만 8,433명을 대상으로 코호트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는데요.
비만은 동맥경화와 심근경색, 심부전, 더 나아가 사망의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체중 또한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환자의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는데요.
이런 이유로 비만도를 가늠하는 체질량지수(BMI)와 사망은 U자 모양의 연관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BMI가 너무 낮아도, 높아도 위험하단 것인데요.
연구팀이 2009년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중 심혈관 질환이 없는 927만 8,433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이 같은 연관성이 확인됐습니다.
각 질환별로 가장 위험이 낮은 BMI 구간은 심근경색은 정상 체중(18.5-22.9kg/㎡), 심부전은 비만 전 단계 (23-24.9 kg/㎡), 그리고 사망은 경도 비만(25-29.9kg/㎡) 구간이었는데요.
그러나 비만도에 따른 심혈관계 위험이 모든 연령대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다시 ▲청년층(20~39세) ▲중년층(40~64세) ▲노년층(65세 이상)으로 나눠 BMI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심근경색의 위험은 청년층에서 특히 비만도가 높을수록 비례해 증가했는데요.
중년층은 U자형, 노년층에서는 반비례해 저체중일 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심부전의 경우 전 연령층에서 U자형 관계가 관찰됐는데요.
다만, 비만의 영향은 청년층에서, 저체중의 영향은 중·노년층에서 각각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심부전 위험이 가장 낮은 BMI 구간은 청년층에서는 정상 체중일 때, 중년층에서는 정상 체중 또는 비만 전 단계 일 때, 노년층에서는 비만 전 단계일 때로 확인됐는데요.
사망의 위험은 전 연령층에서 경도 비만일 때 가장 낮고, 심한 저체중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저체중과 사망의 연관성은 청년층보다 중·노년층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났는데요.
나이를 10살 단위로 나눠 분석했을 때, 비만도와 심혈관계 위험의 연관성은 더 극명히 차이 났습니다.
연구팀은 20대에서는 저체중이 심혈관계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았고, 비만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증가할수록 심혈관계 위험이 커졌다며, 70대 이상의 노인에서는 비만에 따른 심혈관계 위험 증가보다도 저체중에 따른 심근경색 사망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청년층은 비만해지지 않도록 체중을 조절하고, 비만한 젊은이는 체중을 감량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노인층의 경우 체중이 감소하지 않도록 적절한 운동과 식이를 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