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정보]겨울철 코막힘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건조하고 찬 공기는 코 점막을 건조하게 만드는데요.

겨울철 콧물, 코막힘, 재채기 등 코와 관련된 증상이 유독 더 심해지는 이유입니다.



코 점막은 콧물을 만들어 외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먼지에 일차적으로 대항하는데요.

코로 흡입된 공기의 습도와 온도를 조절해 언제나 일정한 온도와 습도의 공기가 폐로 유입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콧물의 원인은 차고 건조한 공기가 바로 폐로 유입되지 않도록 코 점막이 반응해 맑은 분비물을 생성하는데요.

외부의 찬 공기에 맞서 우리 몸이 일차적으로 조절하는 생리적 현상입니다.



이러한 코 점막의 생리적 반응이 과하게 발현되면 불편을 겪게 되는데요.

코 점막이 외부 온도와 습도 변화에 평균 이상으로 예민하게 반응해 아주 작은 외부 자극의 변화에도 증상이나타나는 혈관운동성 비염과 집 먼지 진드기, 꽃가루, 곰팡이, 동물 털 등 특정 자극에서만 심한 증상이 발현되는 알레르기 비염이 그 사례입니다.



겨울철 코막힘을 유발하는 원인 중 가장 흔한 것은 감기인데요.

감기는 바이러스로 인한 급성 상기도의 염증으로 대부분 리노바이러스와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해 상기도 (코, 인후, 후두)를 침범합니다.



겨울철 낮은 기온과 습도는 코 내부 점막 기능을 약화시켜 바이러스에 대한 자연 저항력을 감소시켜 감기에 더 자주 걸리게 되는데요.



감기 바이러스는 대부분 면역체계에 의해 수일 내 치료되기에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서 수분, 영양 섭취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식염수를 이용해 비강 세척을 하면 부어오르고 충혈된 비강 내 점막 부종을 완화해 코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데요.

심하게 불편하면 해열제나 소염제, 비충혈 완화제 등을 처방 받아 복용하는 것이 증상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사람 간 비말을 통한 전파 위험이 있기에 항균 비누를 이용해 자주 손을 씻고 사람이 밀집한 실내를 가급적 피하고 주기적으로 실내 공기를 환기해야 하며 실내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감기에 걸린 후 피로감, 인후통, 두통과 같은 증상이 호전됐지만 수 주가 경과해도 누렇고 끈적한 콧물, 코막힘, 후비루가 이어지는 경우 급성 세균성 부비동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급성 세균성 부비동염이 이차적으로 합병되면 길게는 수 주 이상 병이 진행될 수 있는데요.



겨울철 코막힘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실내 습도를 40~50%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또 생리식염수 스프레이를 수시로 코에 뿌려 직접적으로 수분을 공급하고, 하루 한두 번 생리식염수로 코 세척을 하면 콧속 분비물을 씻어내는 데 도움이 되는데요.

코 세척이 익숙하지 않을 때는 스팀타월을 코에 얹어 두는 것도 유용하니 참고하시기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