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정보]갑자기 가슴을 쥐어짜는 통증이 계속된다면


평소에 멀쩡하던 사람도 하루아침에 갑자기 사망할 수 있는 질환 중 하나가 심근경색입니다.

때문에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요즘 날씨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인데요.



아시겠지만 기온과 혈압은 반비례합니다.

기온이 1도 떨어질 때 수축기 혈압은 1.3mmHg, 이완기 혈압은 0.6mmHg 올라가게 되는데요.



열을 밖으로 발산하지 않기 위해 몸이 수축되면 자연스레 혈압이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실제로 월별 심근경색 환자 수를 살펴보면 다른 때보다 기온이 내려가는 10월부터 다음 해 1월까지 환자 수가 증가했는데요.



심혈관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다양한 이유로 막혀 혈액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평소에는 잘 다니던 자동차의 연료관이 막히게 되면 연료의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결국 핵심부품인 엔진이 고장나는 것과 비슷한 원리인데요.



심혈관질환에는 크게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등이 있습니다.

심근경색과 협심증은 심장동맥의 동맥경화 때문에 발생하는 질병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는데요.



여기서 협심증은 심장동맥이 좁아진 경우 운동을 할 때처럼 심장에 많은 영양분과 산소가 필요한 상황에서 좁아진 혈관으로 심장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심근경색은 단순히 심장동맥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상태가 아닌 좁아진 혈관에 생긴 혈전이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가리키는데요.

이로 인해 혈액순환이 완전히 차단돼 지속해서 가슴 통증 이어지고 심장 근육이 심하게 손상되는 상태를 뜻합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점은 평소에 별다른 협심증 증상이 없던 건강한 사람도 심근경색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인데요.



갑자기 가슴을 쥐어짜는 통증이 계속된다면 심근경색의 전조 증상 중 하나입니다.

이 경우 재빨리 119로 전화해 응급실에 가야 하는데요.

고혈압이나 당뇨같이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의 경우 가슴 통증 외에 두통이나 소화가 안 되는 증상이 계속되면 심근경색의 전조 증상일 수 있습니다.



한 대학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에 따르면 심근경색이 발생하고 나서 병원에 오는 시간이 늦을수록 심근의 손상이 심하고 손상된 근육은 다시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119에 신고해 병원에 오는 것이 중요하다며,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조절하기 위해 금연과 금주, 적절한 운동 등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말했는데요.



네. 맞습니다.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라는 것을 저 역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을 실천하지 못하면 누구나와 같이 숨을 쉬지 못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시기 바라며 이만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