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영양정보]산후조리할 때 미역국은 하루 2번이면 충분해요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우리나라 산모의 출산부터 산후조리까지 미역국 섭취를 통한 요오드 과다 섭취를 줄이기 위해 '산후

조리 시, 요오드 적정 섭취 실천 요령' 정보를 제공합니다.



요오드는 갑상선호르몬 생성에 필수적인 영양성분으로 하루 섭취 권장량도 있지만, 넘지 않도록 권고하는 상한섭취량

(2.4mg)도 있습니다.

 


평가원은 산모의 적정 요오드 섭취 정보 제공을 위해 우리나라 전국 5개 권역의 산모(1,054명)를 대상으로 산후조리 기간 중

요오드 섭취 실태를 조사했는데요.  조사대상은 병원, 산후조리원 등에서 갑상선 질환이 없는 출산 후 ~8주 사이의 산모로,

1일 평균 요오드 섭취량은 2.9mg으로 나타났습니다.


※ 1일 평균 요오드 섭취량 : 출산 후~2주(3.6mg), 3~4주(3.0mg), 5~6주(2.4mg), 7~8주(1.8mg)

※ 1일 평균 미역국 섭취빈도 : 출산 후~2주(2.4회), 3~4주(1.9회), 5~8주 (1.2회)



학회 등 전문가들은 '산무가 출산 후 1~4주 동안의 미역국 섭취로 인한 단기간 요오드 과다 섭취는 건강한 성인의 경우 크게 

우려할 사항은 아니지만 갑상선 질환을 동반하고 있는 임신·수유부의 경우에는 질환의 종류와 상태 등에 따라 갑상샘 기능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어 의료진과 전문 영양사의 상담을 통해 요오드 섭취 제한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평가원은 산후조리 시 미역국을 통한 요오드 적정 섭취를 위해 다음의 실천사항을 제안했습니다.


1. 미역은 30분 이상 불리고 여러 번 씻어서 사용합니다.(조리)

⇒⇒ 건미역을 30분 이상 물에 불려 여러 번 흐르는 물에 헹구면 미역에 있는 요오드 섭취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요오드 함량(건조물 7g 기준) : 미역 1.1mg, 다시마 13.5mg


2. 미역국 육수는 다시마보다는 다른 재료를 사용합니다.(조리)

⇒⇒ 요오드가 많은 다시마보다는 사골, 양지, 닭 등의 육수를 사용하면 요오드 섭취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요오드 함량(식품 100g 기준): 건다시마 193mg, 건미역 16mg


3. 해조류, 어류보다는 채소류, 육류 등으로 식단을 구성합니다.(식단)

⇒⇒ 미역국을 제공할 때에는 해조류, 어류보다는 채소류, 육류 등 단백질, 식이섬유가 많은 음식으로 대체하면 요오드 섭취

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다시마, 튀각, 파래, 김 등 요오드 함량이 높은 음식보다는 육류, 두부, 버섯, 시금치 등 단백질,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함께 제공



식약처는 산후조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조리원 등은 요오드 함량을 줄일 수 있도록 조리하고, 산모에게 균형 잡힌 식단

이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해 줄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미역국은 하루 2회 이내로 섭취하고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시길

바랍니다.